전체 글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2.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업무 분석(요구사항 분석) 인트로 이번 글은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의 첫 번째 단계, 업무 분석(업무파악, 요구사항 분석) 을 다룬다. 순차적으로 다룰 예정! Hope you enjoy it! 업무 분석(요구사항 분석)이란? 개발해야하는 화면, 기능에 대한 분석을 의미한다.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용도를 정하고 이에 맞춰 요구사항 명세서를 작성한다. PM으로 있으면서 기획을 같이 하고 있는 나의 경우에는 새로운 기획을 할 때 화면을 놓고 백엔드 개발자와 함께 화면을 분석하며 스키마에 대한 초안을 잡곤 한다. 혹은 그들이 잡아온 것을 가지고 시뮬레이션을 돌려가며 최적화를 진행하던가 등.. 여기서 진행되는 업무 분석은 어떤 화면과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며 어떤 릴레이션과 어트리뷰션을 관리할지를 고민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Relational data modeling] 2. Task analysis for relational data modeling (requirements analysis) Intr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irst step of relational data modeling, task analysis (work identification, requirement analysis). We're going to do it sequentially! Hope you enjoy it! What is Business Analysis (Requirements Analysis)? It means an analysis of the screen and function to be developed. Requirement analysis determines the purpose of the database and creates a requirement statement..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1.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의 개념과 순서 인트로 몇 개월 전 ERD를 공부하기 앞서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개념을 생활코딩과 유튜브 등을 통해 정리했다. 당분간의 글은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과 관련된 시리즈. 제 3정규화 및 비정규화에 대한 내용까지 다룰 예정이다. Hope you enjoy it! 데이터 모델링의 순서 백엔드 개발자가 데이터 모델링을 하는 순서는 보편적으로 아래와 같다. 1. 업무 파악 (업무 분석, 요구사항 파악) 화면설계서, 기획서 등을 문서를 보며 업무를 파악(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2.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비즈니스 및 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구조를 정의하며 비즈니스 이해관계자와 데이터 설계자가 정의한 대로 비즈니스 개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업에는 고객, 직원, 제품에 관한.. 이전 1 2 3 4 ··· 6 다음